트위터·페이스북 개인정보 단속 방법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 두 서비스는 사용할수록 자기 이야기를 털어놓는 묘한 재미가 있다. 덕분에 전세계 사용자를 사로잡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대표 주자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용자가 늘면서 원치 않는 개인정보 접근을 막는 방법도 하나둘 생겨나고 있다. 트위터 개인정보 관리법 최근 트위터는 다음과 검색 제휴를 맺었다. 굳이 다음이 아니어도 네이버,...
View Article美 의회 “페이스북, 이용자 정보 공개하지 마”
미국 상·하원 의원이 페이스북이 이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반대하는 편지를 보냈다. 법적인 제재를 가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페이스북의 행보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올페이스북은 3월10일 알 프랭큰과 척 슈머, 쉘든 화이트하우스, 리처드 블루멘달 미국 상원의원이 페이스북에 이용자 전화번호와 주소를 공개하는 방침을 철회하라는 편지를 보냈다고 전했다. 지난달에는...
View Article페이스북, 광고주에게 개인정보 넘겼나
페이스북은 이용자와 광고주 모두에게 매력적이다. 이용자가 거리낌 없이 개인정보를 올리도록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주에게 정교하게 타겟팅한 광고 상품을 판다. 이런 페이스북을 두고 개인정보 유출 혐의가 끊이지 않고 제기된다. 테크크런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법원은 페이스북을 상대로 제기된 소송을 이어가기로 5월12일 결정했다. 이 소송은...
View Article“지운 정보도 보관해?”페이스북 민원 잇따라
너무 많은 정보를 가진 혐의로 페이스북이 최대 10만유로를 벌금으로 부과받을 수 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10월20일 알렸다. 오스트리아의 페이스북 이용자 막스 슈렘스는 페이스북이 자기가 삭제한 정보를 보관해왔다며 아일랜드의 데이터 보호 위원회에 22개의 민원을 제기했다. 막스 슈렘스가 페이스북 본사가 있는 미국이 아니라 아일랜드 정부쪽에 접수한 이유는,...
View ArticleFTC, 페북에 “고객정보 활용땐 동의 먼저”
페이스북이 이용자 정보를 외부 개발자와 공유할 때 반드시 이용자의 동의를 얻도록 약관을 고칠 전망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1월10일 밝혔다. 현재 페이스북은 수정한 약관을 FTC에 제출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현재 페이스북 이용 약관은 이용자의 동의를 별도로 구하지 않아도 페이스북이 원하는 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페이스북 이용자가 게시하는...
View Article[책] 디지털 시대, 나를 잊어주세요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공유의 시대에서 ‘나’는 잊혀질 수 있을까. 나의 사소한 행적까지 수집하고 저장하는 인터넷 서비스,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에 정보를 요구하는 수사당국과 정부, 사업자는 나의 과거를 잊어줄까. 8억명이 쓰는 SNS 페이스북의 대표 마크 주커버그는 프라이버시는 없다고 말했다. 웹에 올린 이상 모든 건...
View Article모바일 SNS ‘패스’, 폰 주소록 왜 빼갔나
모바일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패스(path)가 이용자의 주소록 정보를 자사의 서버에 저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룬 탐피라는 싱가포르의 한 개발자는 패스의 API 요청을 들여다보다 위와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아룬 탐피는 패스가 이용자의 주소록에서 이름과 e메일 주소, 전화번호를 끌어내 자사의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확인했다. 아룬 탐피는 “나는 패스에 내...
View Article방통위 “구글은 새 약관 시행 전 해명하라”
방송통신위원회가 개인정보취급방침 변경으로 논란을 빚은 구글코리아에 해명을 공식 요구하고 나섰다. 방통위는 구글이 새 약관을 발표한 지난 1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국내 관련법을 위반하는 지에 대한 법적 검토에 들어갔다. 이를 토대로 방통위는 구글코리아에 공식 서한을 보내 입장을...
View Article트위터도 휴대폰 주소록 정보 빼갔나
모바일 기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패스’가 이용자 휴대폰에 있는 연락처를 무단으로 빼간 사건이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다른 아이폰용 앱에도 불똥이 튀고 있는 모양새다. 그동안 패스처럼 이용자에게 사전에 알리거나 허락을 구하지 않고 휴대폰 주소록을 빼간 서비스는 트위터, 포스퀘어, 옐프, 푸드스포팅, 힙스터, 인스타페이퍼 등이다. ‘주소록에 등록한...
View Article주민등록제 50년, 통제의 일상화
“주민등록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너무 둔감한 게 문제입니다.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주민등록제도가 인권 침해를 야기한다는 인식이 없습니다. 오히려 인증을 좋아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 아닐까요.” 올해로 우리나라에서 주민등록제도가 시행된 지 50년이 됐다. 대한민국 ‘국민’이 ‘주민’등록증을 가지게 된 건 44년 째다. 그리고 지난해 12월23일, 국회...
View Article[주간SNS동향] 애플, 주소록 빼가는 앱 단속 본격화
애플, “이용자 주소록 정보 빼갈 때는 사전 허락 받아야” 애플은 이용자의 주소록 정보를 빼갈 때 “위치정보처럼 이용자의 사전 허락이 필요하다”라고 2월15일 올싱즈디지털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최근 인기있는 SNS 앱이 휴대폰 주소록 정보를 무단으로 활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모바일 SNS 패스를 시작으로, 트위터와 포스퀘어, 옐프, 인스타그램이 이용자에게...
View Article아이폰 이용자 추적한 구글, 따돌리려면
구글이 아이폰 이용자의 인터넷 이용 행태를 추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구글의 추적을 피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구글은 그동안 애플이 아이폰 이용자를 위해 사파리에 설정한 쿠키 차단 기능을 무력화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월17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 방문 순위 상위 웹사이트 100곳에 구글의 이용자 추적 프로그램이 설치돼...
View Article구글, IE 개인정보 설정도 빗겨갔다
구글이 애플 사파리에 이어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개인정보 보호 설정도 빗겨갔던 것으로 드러났다. 딘 하차모비치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은 2월21일 “구글은 IE에 기본으로 있는 개인정보 보호를 피했고 쿠키로 IE 이용자를 추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MS IE팀은 애플이 사파리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기본으로 적용한 개인정보 보안 설정을 구글이 빗겨갔다는...
View Article구글 한국용 개인정보취급방침 마련 “사실무근”
구글이 국내 실정에 맞춰 개인정보취급방침을 별도로 마련할 것이라고 알려졌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구글은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와 협의를 통해 수정 개인정보정책을 다음달 초에 마련할 것이라는 소식이 3월26일 나왔다. 구글이 특정 국가에 맞춰 별도 정책을 마련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구글과 방통위쪽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View Article구글, 개인 자료까지 통합 검색…문제 없나
구글이 올 초 변경한 새 개인정보취급방침이 이용자의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목소리가 유럽에서 나오고 있다. 프랑스의 데이터 보호 관리 감독 기관인 CNIL은 구글의 새 개인정보취급방침이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구글에 새 방침을 수정하라고 요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0월15일 밝혔다. 그리고 현지시각으로 10월16일 이 내용을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View Article‘슈퍼쿠키’, 사생활 보호 모드도 엿본다
사생활 보호 모드를 무력화하는 ‘슈퍼쿠키’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스테크니카>는 웹브라우저가 새상활 보호 상태여도 누리꾼을 추적하는 슈퍼쿠키를 만들 수 있다고 1월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소프트웨어 컨설팅 회사 래디컬리서치를 운영하는 샘 그린할이 블로그에 올린 글을 인용했다.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사생활 보호 모드인 ‘시크릿...
View Article포털 압수수색 요청, 2년 새 6배 ↑
다음카카오가 정부에게 얼마나 사용자 자료를 달라고 요청받았는지 공개했다. 1월23일 아침 ‘투명성 보고서’를 내면서다. 다음카카오가 밝힌 바에 따르면 정부 기관이 다음카카오에 압수수색 영장으로 자료를 요청한 건수는 2년새 4배 많아졌다. 네이버도 하루 앞선 1월22일, 투명성 보고서가 포함된 ‘2014 개인정보보호 리포트‘를 공개했다. 같은 기간동안 네이버가...
View Article“웹사이트 개인정보 유출, 절반은 관리자 탓”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이유는 대부분 관리자 부주의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자치부(행자부)가 지난 1월28일 공개한 ‘2014년 홈페이지 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2013년 한 해 동안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이유 중 절반 이상(53%)은 웹사이트 관리자 등 개인정보 취급자의 부주의 때문이었다. 웹사이트 관리자가...
View Article“개인정보보호법, 사용자 보호 지나쳐”
“고지와 동의로 해결할 수 없는 세상이 다가옵니다. 위치정보도 마찬가지죠. 훌륭한 서비스는 이용해보면 굉장히 편리하기 때문에 아무리 개인정보나 사생활 침해 문제를 민감하게 생각하는 분도 관대해질 겁니다. 스스로 원하는 서비스를 쓸 때는 침해받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면, 우리나라 법이 일률적으로 동일한 고지와 동의 의무를 요구하는 게 꼭 옳은지 생각해...
View Article